반응형

 한 교수가 강의실에 들어와서는 커다란 유리 그릇을 탁자 위에 올려놓는다. 그는 학생들에게 그 그릇이 비어있는지 가득 찼는지 물어본다. 학생들은 뭔가 속임수가 숨어 있는 질문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대체로 그 그릇이 비었다는 데  대해서는 이견을 보이지 않는다. 


 이제 교수가 돌멩이가 담긴 커다란 상자를 탁자 위에 올려놓고는 더 올려 놓을 수가 없어 보일 때까지 유리 그릇에 돌멩이를 채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학생들에게 그 그릇이 가득 찼는지 다시 물어본다. 나름 대학에 들어갈 만큼 똑똑한 학생들이기 때문에, 금방 돌멩이 사이에 공간이 있다고 답한다.


 이번에는 교수가 커다란 모래주머니를 꺼내서는 그릇에 모래를 부어서 돌멩이 사이의 빈틈을 메운다. 그런 다음 물병을 꺼내들고는 물이 꽉 차서 넘칠 때까지 물을 붓는다. 


 교수가 다시 한 번 학생들에게 그릇이 가득 찼는지 물어보자, 학생들은 이제 그릇이 꽉 찼다고 답한다. 교수가 학생들에게 "이 유리그릇을 시간관리에 비유해볼 때, 내가 지금 이걸 보여 준 의도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라고 묻는다. 


한 학생이 자신있게 "시간이 없다는 생각이 들 때도 효율적으로 행동하면 시간을 더 짜내서 일해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대답한다. 


교수는 실망했다는 듯이 고개를 좌우로 흔들며 이렇게 말한다. "실은 거의 반대되는 얘기를 하고 싶습니다. 제가 하고 싶은 건, 이 그릇에 물하고 모래를 먼저 넣었다면 돌멩이를 집어넣을 수 없었을 거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돌멩이, 커다란 물건을 해야 할 일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나타냅니다."



목표 중심적인 시간 관리의 핵심은 바로 자기 목표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있다. 그 점을 분명히 해 두지 않으면 조그만 일, 급한 일을 하는 데 시간을 다 보내느라 진짜 중요한 일을 할 수 없게 된고 만다.



출처 - 프로그래머로 사는법 chapter 12 中

반응형

+ Recent posts